|
(이그린뉴스 = 안일만 대기자) 서울의 하수처리비가 수돗물 정제비용보다 두배나 높아 주민의 상하수도 요금부담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절수시설 확충 등을 통한 물절약 정책의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이그린뉴스가 서울시로부터 받은 상하수도 관련 정보공개 자료에 따르면 중랑, 난지, 서남, 탄천 등 서울 4개 하수처리장의 생활하수처리량은 2020년 기준 15억 톤으로 이의 총처리원가는 약 1조,2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서울시의 수돗물 정제원가 연 8,000억 원과 비교해 하수처리비가 4,000억 원이나 높은 비용이다.
서울시가 상하수도 요금으로 부과 징수하는 상하수 요금은 연간 1조8,000억 원에 달하지만 현재 수돗물은 정제원가의 90%, 하수는 생산원가의 60%를 적용하고 있어 상하수요금의 인상은 늘 상존해 있는 상태다.
이런 사정 때문에 서울시는 상하수도 요금을 1년에 10% 안팎의 인상이 불가피한데 그만큼 주민의 부담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2조 원에 달하는 이런 상하수도 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양변기나 수전(수도꼭지 등)에 법 기준에 맞는 초절수 시설을 설치해 물절약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다. .
양변기의 경우 1회 사용에 4리터의 1등급으로 교체하고 수전에도 법 기준에 맞는 절수 장치를 설치할 경우 현재 물사용량의 40%를 줄일 수 있다.
그러니까 이 2조 원의 상하수처리비용을 1조2,000억 원으로 낮출수 있어 서울시민의 상하수도요금부담을 1년에 8,000억 원 정도 덜어줄 수 있다는 얘기다.
|
생활용수 수돗물 사용 증가에 따른 상하수도요금 인상, 주민의 부담을 덜기 위한 초절수 양변기 시설 확충 등 물절약 정책 활성화에 서울시가 나서야할 때다.
환경지킴이 이그린뉴스는 구독료와 광고로 제작됩니다.
후원 계좌 신한은행 이그린뉴스 140-010-124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