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 유증기 회수장치는 반쪽짜리, 관리도 허술 "돈만 낭비"

가-가+sns공유 더보기

안일만 기자
기사입력 2023.05.04 10:50

속보/ (이그린뉴스 = 안일만 대기자) 환경부가 대기오염을 방지한다며 국비를 지원해 주유소에 설치한 1급발암물질인 유증기 VOCs 회수 장치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돼 이에대한 보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유증기 회수장치만 설치됐을 뿐 회수한 유증기를 액화하는 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회수된 유증기가 그대로 공중으로 새고 있는데다 회수장치에 대한 관리마저 사전 예고제로 허술하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지난 1999년부터 대기 환경 보전법을 강화해 여천, 울산 등 공업단지를 특별대책지역으로, 수도권을 대기 환경 규제 지역으로 지정, 2,896개 주유소 등에 대기오염 방지로 국민건강을 지키기 위해 주유소에 유증기 회수 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지금까지 100억 원에 가까운 국비를 지원했다.

 

그러나 주유소 대부분은 이렇게 탱크에 저장한 유증기 이른바 VOCs(1급 발암물질)를 휘발유로 환원시키지 못한 채 대기 중으로 날려 버리고 있다.

 

주유소에 설치된 일명 스테이지1과 스테이지2라는 장치는 유증기를 단순 회수하는 기능 뿐인데도 정작 보완재 역할을 하는 액화 장치는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환경부가 이런 유증기 회수 장치를 마치 액화가 가능한 것처럼 거짓 홍보를 한데 있다.

 

지난 20121월 환경부와 환경관리공단이 각 언론사에 배포한 홍보자료와 당시 보도된 종합 일간지의 관련 기사를 보면 주유소에서 스테이지1, 2를 설치할 경우 휘발유에서 나오는 유기화합물(VOCs) 93%이상을 액화할 수 있고 대기오염 방지와 휘발유 냄새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게다가 이 같은 회수 설비를 통해 연간 약 3,000톤의 유증기를 휘발유 400만 리터로 환원해 80억 원 가량의 기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회수기를 통해 지하 탱크에 저장된 유증기는 액화되지 않은 채 압력 팽창으로 공중으로 다시 날아가는데다 회수 장치의 잦은 고장에 따른 수리 비용 발생으로 주유소들은 이 회수 장치를 돈만 잡아먹는 애물단지로 취급하고 있다.

 

환경부는 뒤늦게 한 환경업체에 국비 30억 원을 지원액화 장치를 개발하도록 해 이 회사가 개발한 유증기 액화 장치가 환경부의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며 언론을 통해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는 등 야단법석을 떨었다.

 

하지만 개발된 이 액화 장치는 경제성이 맞지 않아 주유소 설치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런데도 환경부는 수도권 등지에서 시행 중인 유증기 회수 장치가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주유소의 유기화합물을 차단하는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며, 2017년 이 장치의 설치 의무화 대상과 지역을 전국 여러곳으로 확대한 것이다.

 

그러나 액화시설 없는 유증기 회수 장치 스테이지1, 2시설 설치로 모아진

VOCs는 그대로 공중으로 날려버리고 있어 돈만 낭비한다는 지적이 제기된지 오래다.

 

게다가 유증기 회수장치에 대한 단속 역시 1년에 한번씩 그것도 사전 통보로 이뤄지고 있어 하나마나다.

 

이때문에 주유소 대부분은 회수장치가 고장이나도 바로 고치지 않은 채 점검 통보를 받을때까지 기다렸다 수리를 하는 척하고 있어 평상시 주유시 유증기는 그대로 공중으로 새 운전자들은 1급 발암물질 VOCs에 완전 노출될수 밖에 없다.  

 

그러니까 주유소 유증기 회수장치는 액화장치도 없는데다 이처럼 관리 마저 허술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반쪽짜리에 불과한 것이다. 

 

1급 발암물질인 VOCs는 대기 중으로 새어 나와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결합하면 햇빛의 광합성 작용으로 초미세먼지보다 훨씬 더 높은 유독성 물질로 변해 건강에 치명타를 줄 수 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분석이다.

 

그런데도 환경부는 유증기를 회수해 마치 액화하는 것처럼 거짓 정책을 펴고 있어 이에대한 책임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 혈세로 지원된 액화 기능이 전혀 없는 주유소 유증기 회수장치, 그 문제점을 재 점검하고, 예고없는 꼼꼼한 점검, 관리로 전환해 주유소 VOCs로 인한 국민건강 위협에서 벗어나야 하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환경지킴이 이그린뉴스는 구독료와 광고로 제작됩니다.

          후원 계좌 신한은행 이그린뉴스 140-010-124207

 

 

URL 복사
x
  •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이그린뉴스. All rights reserved.